본문 바로가기
투자꿀팁과 최신정보

20250403 일희일비 소식

by AHA-꿀팁&리뷰 2025. 4. 3.
728x90

이 노트는 제가 실시간으로 접한 자료를 공유하는 세션입니다.

매일 매시간 매분 최신 자료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美관세폭풍] '관세율 46%' #베트남 증시 6.7%↓…23년만에 최악 폭락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3173000084?input=1195m

[美관세폭풍] '관세율 46%' 베트남 증시 6.7%↓…23년만에 최악 폭락 | 연합뉴스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에 46%의 초고율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함에 따라 베트남 증시가 2001...

www.yna.co.kr


#모건스탠리

창구를 통해 투매가 많더니.......모건스탠리 “韓 겨냥 미국 상호관세 예상보다 가혹” [마켓시그널]
https://naver.me/xhzggMY0

모건스탠리 “韓 겨냥 미국 상호관세 예상보다 가혹” [마켓시그널]

세계적인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3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가 “예상보다 가혹하다(harsher)”고 진단했다. 캐슬린 오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보고서 ‘상호관세: 예상보

n.news.naver.com


[단독] AI용 韓 변압기, '몽둥이'는 피했다...효성·HD현대 반덤핑 관세 0%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5974

[단독] AI용 韓 변압기, '몽둥이'는 피했다...효성·HD현대 반덤핑 관세 0% | 중앙일보

최고 18%를 부과할 것으로 알려져, 트럼프 1기 당시 최고 60%대 '관세 몽둥이'를 맞던 상황은 피할 전망이다. 3일 전력기기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이날 업체별로 반덤핑 관세율 확정 결과를

www.joongang.co.kr


미국의 대중국 평균 관세율 추이

작년 대선 유세 당시 '대중국 60% 관세'를 언급할 때만 해도 (대부분) 실현 가능성 'Zero(0)'로 봤는데....

Mr. Trump
The 49th President of United States of "G.R.E.A.T" America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 자주포가 인도와 2차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3일 “인도에 K9 자주포 추가 수출 계약을 3700억원 규모로 체결했다”면서 “인도군 현대화 사업 파트너인 L&T와 함께 인도 육군에 자주포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수출 계약을 계기로 인도와 협상 중인 대공체계 사업의 수출 가능성도 열렸다”고 강조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0398

인도에 ‘바지라(천둥)’ K9 자주포 100대 추가 계약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가 인도와 2차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3일 “인도에 K9 자주포 추가 수출 계약을 3700억원 규모로 체결했다”면서 “인도군 현대화 사업 파

n.news.naver.com


#엠앤씨솔루션

(시가총액: 7,424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
계약내용 : ( 상품공급 ) K21보병전투차량 4차양산 외 21항목 물품공급계약
공급지역 : 대한민국
계약금액 : 199억

계약시작 : 2025-04-03
계약종료 : 2028-09-15
계약기간 : 3년 5개월
매출대비 : 7.04%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3800282


환율조작·무역장벽 고려했다더니…美 관세율, 단순 나누기로 산출


- 실제로는 무역수지/수출액으로 산출
- "협상용 혹은 적자 축소 목적인 듯"
- 韓 포함 일부국가 상호관세율도 혼선
- 트럼프 도표는 25%, 백악관은 26%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DN6F40I

환율조작·무역장벽 고려했다더니…美 관세율, 단순 나누기로 산출

국제 > 정치·사회 뉴스: 미국이 각국의 관세와 환율조작 정도, 비관세 장벽 등을 고려해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산출하고 이의 절반 규모의 상호관세를 부...

www.sedaily.com


오전장/외국인매도가 전기전자등 대형주에 집중되고있음에도 시장(주가지수)는 코스피 2450선에서 코스닥 680선에서 반등세입니다. 이힘은 특이사항없는한 오후까지도 견조해보입니다! 지나친공포보다는 일시적일지라도 선반영 및 기술적반등으로 봅니다


#넥스틸

美 현지 12만톤 생산 공장 올해부터 정상 가동 들어간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58670

넥스틸, 美 현지 12만톤 생산 공장 올해부터 정상 가동 들어간다

미국 관세 폭탄으로 국내 철강ㆍ강관 업계가 생존마저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반면 이미 미국 현지에 생산공장을 세우고 지난해 비정기적

www.etoday.co.kr


● 보편관세 및 국가별 추가관세에 대한 예외 품목


○ 232조 조치 대상 철강·알루미늄

→ 기존에 별도 관세 부과 중인 품목으로, 이번 상호관세에서 중복 적용 제외됨.
→ 관련 포고문: Proclamation 9704, 9705, 9980, 10895, 10896


○ 자동차 및 부품 (3월 포고문 적용)

→ 3월 26일 자 Proclamation 10908에 따라 별도 조치 적용 중이며, 이번 관세 면제


○ 전략산업 핵심 품목 면제

→ 다음 품목은 공급망·안보 차원에서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됨:
 - 구리(Copper)
 - 의약품(Pharmaceuticals)
 - 반도체(Semiconductors)
 - 목재(Lumber articles)
 - 중요 광물(Critical minerals)
 - 에너지 및 관련 자원(Energy products)


○ 미국산 비중 20% 이상 제품

→ 수입품의 20% 이상이 미국산(완전 생산 또는 실질 변형)일 경우 해당 비율만큼 면제.
→ CBP(세관국경보호국)가 자료 요청 가능


○ USMCA 원산지 기준 충족 품목 (캐나다·멕시코)

→ 협정 기준 충족 시 관세 면제.
→ 기준 미달 시 일반 품목은 25%, 에너지·광물은 10% 관세 부과


○ 운송 중인 품목 면제

→ 4월 5일(보편관세), 4월 9일(국가별 관세) 이전 선적되어 최종 운송 중인 경우 적용 제외


○ 소액 수입품 (De Minimis)

→ 일정 금액 이하 수입품은 당분간 면제 유지.
→ 단, 상무부가 시스템 완비 통보 시점부터는 관세 부과 예정


○ 중국 → 홍콩·마카오 우회 방지 조치

→ 중국산으로 간주해 동일 관세 적용. 트랜스십먼트 방지 목적


LG에너지솔루션

(373220): 잘 해보려는데 또 시련을 주네

https://buly.kr/4FsBeN7

DB증권

whub.dbsec.co.kr



1Q25 컨센서스 상회 전망: 연결 매출액 5.9조원(-3.4%YoY, -8.3%QoQ), 영업이익 1,101억원(-30%YoY, 흑전QoQ, OPM 1.9%), AMPC 3,705억원으로 낮았던 컨센서스 상회 전망. 중대형 EV 출하량 -6% 감소하나 일회성 영향 제거, 환 효과로 수익성 회복. Ultium 가동률 개선되며 미국 고객사 재고조정 영향이 시장 우려 대비 작았던 것으로 추정. 소형 전지는 2170 신제품 조금씩 출하 시작되며 양호한 성장세. ESS는 상반기 프로젝트 공백기 지속으로 실적 악화.

불확실성 커지는 미국: 2Q25 매출액 6.9조원(+12.3%YoY, +16.9%QoQ), 영업이익 3,741억원(-52%YoY, -54%QoQ, OPM 5.4%), AMPC 4,942억원 전망. 상반기까지는 AMPC 수취 위한Ultium의 선제적 가동이 이어질 가능성. 소형전지는 Tesla Juniper Y 판매 본격 시작되며 20% 외형성장 예상함. 다만 4월부터 미국 자동체 관세 시작되는데, GM의 주요 인기 EV 모델들은 대부분 멕시코에서 생산 중이라 타격 불가피. 또한 1Q25 GM EV 판매량 31,887대로 +94%YoY 성장했으나 2025년 30만대 가이던스 충족하기에는 역부족하다는 판단. 캐나다 Stellantis, 미국 Honda JV도 가동 연기 가능성 열어두어야 함.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00,000원 유지: 하반기 눈높이 조절은 필요하나, 다변화된 고객 포트폴리오로 상반기 실적 방어 여력 보여주고 있음. 또한 셀 사 중에서는 다양한 제품군(46파이, LFP, 고전압 미드니켈)으로 시장 회복 시기 대응도 가장 잘할 것으로 기대함.


공개된 백악관 팩트시트에 따르면 상호관세를 적용받지 않는 품목은 △미국 법전 제50편 제1702(b)조에 따라 보호받는 품목들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가 이미 적용되고 있는 철강·알루미늄, 자동차·자동차 부품 △구리, 의약품, 반도체, 목재 제품 △향후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가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품목 △금괴 등의 귀금속 △미국 내에서 확보할 수 없는 에너지 및 특정 광물 자원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75036?sid=101

백악관 "자동차·철강·반도체에는 상호관세 미적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전 세계 각국을 상대로 상호관세를 발표한 가운데 이미 관세가 부과된 철강·알루미늄과 자동차에는 상호관세가 추가되지 않는다고 백악관이 밝혔

n.news.naver.com


[키움 허혜민] 의약품 보복 관세 대상에서 제외


백악관은 유럽 등 여러 국가에 대해 20%에 달하는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음.

백악관 자료에 따르면 의약품은 이 보복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보임.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계획을 도표로 공개할 당시 면제 대상에 대한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제약사 및 로비 단체들은 자사 제품이 관세 대상인지, 계획에 따른 변수는 없는지 등 파악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고 Endpoints News 보도

https://endpts.com/trumps-tariffs-could-leave-the-pharma-industry-scrambling/

Corrected: Trump's broad tariffs could mark a 'double whammy' for pharma after FDA cuts

President Donald Trump on Wednesday announced broad 10% global tariffs in a move that pharma industry groups worry will upend drug costs and manufacturing.

endpts.com



The Trump administration, as part of the announcement, also announced higher retaliatory tariffs on many countries, including 20% tariffs on Europe. But pharmaceuticals appear to be excluded from those higher tariffs, according to a White House fact sheet reviewed by Endpoints News. In the minutes after Trump held up a chart in the White House rose garden laying out the tariffs — without mentioning any exemptions — drug companies and lobbying groups were still scrambling to assess the impact on their businesses, and whether it would hit their products, or if there were other wrinkles to the plan. The White House didn’t immediately respond to a request for clarification on the plan and what it would mean for the drug industry.


[속보] 트럼프

한국에 상호관세 25% 부과

미국 정부가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국가별 관세율은 ▲ 중국 34% ▲ 유럽연합(EU) 20% ▲ 베트남 46% ▲ 대만 32% ▲ 일본 24% ▲ 인도 26% 등이다.

https://naver.me/FIflDZ9n

美, 한국에 상호관세 25% 부과…EU 20%·대만 32%·인도 26%

미국 정부가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행한 연설에서 이

n.news.naver.com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요약:


1. 50+ 국가에 부과된 관세 발표

2. 관세는 국가별로 미국에 부과되는 요금의 50%입니다.

3. 전 세계 모든 국가에 대한 10% 기준 관세

4. 모든 외국산 차량에 대한 25% 자동 관세

5. 트럼프는 관세가 "미국의 성장을 줄 것"이라고 말한다.

6. 트럼프,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감세안 발표" 계획

7. 기본 관세는 4월 5일부터 시행됩니다.

8. 상호 관세는 4월 9일부터 시행됩니다.


1. 캄보디아 - 49%
2. 라오스 - 48%
3. 마다가스카르 - 47%
4. 베트남 - 46%
5. 미얀마(버마) - 44%
6. 스리랑카 - 44%
7. 방글라데시 - 37%
8. 세르비아 - 37%
9. 보츠와나 - 37%
10. 태국 - 36%
11. 중국 - 34%
12. 대만 - 32%
13. 인도네시아 - 32%
14. 스위스 - 31%
15. 남아프리카 공화국 - 30%
16. 파키스탄 - 29%
17. 튀니지 - 28%
18. 카자흐스탄 - 27%
19. 인도 - 26%
20. 대한민국 - 25%
21. 일본 - 24%
22. 말레이시아 - 24%
23. 코트디부아르 - 21%
24. 유럽연합 - 20%
25. 요르단 - 20%
26. 니카라과 - 18%
27. 필리핀 - 17%
28. 이스라엘 - 17%
29. 노르웨이 - 15%
30. 터키 - 10%
31. 페루 - 10%
32. 코스타리카 - 10%
33. 도미니카 공화국 - 10%
34. 아랍 에미리트 - 10%
35. 뉴질랜드 - 10%
36. 아르헨티나 - 10%
37. 에콰도르 - 10%
38. 과테말라 - 10%
39. 온두라스 - 10%
40. 이집트 - 10%
41. 사우디아라비아 - 10%
42. 엘살바도르 - 10%
43. 모로코 - 10%
44. 트리니다드 토바고 - 10%
45. 브라질 - 10%
46. 싱가포르 - 10%
47. 칠레 - 10%
48. 호주 - 10%
49. 콜롬비아 - 10%
50. 영국 - 10%

미국, 캐나다, 멕시코 관세에 대한 USMCA 면제 계속 - BBG
- 캐나다, 멕시코는 현재 상호 관세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미국 '해방의 날' Before & After

Before
🇨🇳 수입품에 대한 관세: 약 42%
🌎 나머지 국가에 대한 평균 관세: 약 4%

After
🇨🇳 수입품에 대한 관세: 약 54%
🌎 나머지 국가에 대한 평균 관세: 약 10%+α


일론 머스크 - 옵티머스 영상 게시


정확한 액추에이터로 자동화 가속화
개선 속도는 실제로 빠릅니다.
올해는 옵티머스 로봇 군단이 등장할 것입니다.


Milan Kovac - 테슬라 옵티머스 담당

우리의 최신 보행 모습이에요!
무릎은 곧게, 발뒤꿈치부터 발가락까지 자연스러운 걷기, 그리고 팔도 흔들리며 그냥 여유롭게 돌아다닙니다
전부 강화학습(RL)으로 시뮬레이션에서만 훈련된 결과입니다.
https://youtube.com/shorts/QazxHii8m9k?si=z1bv2rCYT4SlpExn



테슬라

판매량, 2022년 이래 최저치까지 급감. 올해 1분기에 336,681대의 차량을 판매했는데, 이는 전년대비 13% 감소한 수치이며, 2022년 2분기 이래 가장 낮은 분기별 총계. 또한, 390,000대 이상 판매될 것이라는 애널리스트 예상치도 크게 하회

TESLA $TSLA 1분기 판매량:

총 1분기 판매량: 336,681대(예상: 378,000대), 전년 대비 -13% 감소

- 모델 3/Y: 323,800대(예상: 351,900대), 전년 대비 -12% 감소
- 기타 모델 + 사이버트럭: 12,881대; 전 분기 대비 -46% 감소

1분기 총 생산량: 362,615대

테슬라는 2025년 4월 22일 시장이 마감된 후 2025년 1분기 재무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오후 5시 30분(동부 표준시)에 경영진과 함께하는 실시간 Q&A 웹캐스트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