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트는 제가 실시간으로 접한 자료를 공유하는 세션입니다.
매일 매시간 매분 최신 자료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20250408 23:00
잔디구장 장세네요^^ 내일 우리 장도?!!

#미장
현지 오픈 후 20분 지난 현재.(22:50)
쭉쭉 올라가길...

-중국 외 국가들과는 본격 협상 분위기 조성되는 중
-(Truth Social)트럼프는 한국 대통령 권한과의 통화가 긍정적이라고 평가
-대화 주제로 조선, 미국산 LNG 구입 및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투자를 직접적으로 언급
-한국을 비롯해 많은 나라들과 딜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과도 소통을 기대한다고 발언
-(WSJ)베센트 재무장관에 의하면 70개국이 협상을 원하고 있고 보복 관세를 부과하지 않은 국가들이 협상에서 우선 순위를 점할 예정
-중국처럼 보복하지 말고 협상에 나서라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려는 시도로 해석
[속보]트럼프 "韓총리와 통화에서 관세, 조선, 방위비 등 논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과 통화를 하고 대미 무역흑자, 관세, 조선,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알래스카 파이프라인 합작 투자, 한국에 제공하는 대규
n.news.naver.com
[속보]EU·중국, 7월 정상회담 갖는다. '트럼프 관세' 관계개선 모색
유럽연합(EU)과 중국이 오는 7월 정상회담을 개최한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8일(현지시간)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전화통화에서 "다가오는 7월 EU-중국 정상회담은 양측의 수
n.news.naver.com
#환율
# 원화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531743?cds=news_media_pc&type=breakingnews
원달러 환율 1473.2원… 금융위기 이후 16년만 최고
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오후 3시 30분 종가 대비 5.4원 오른 1473.2원에 마감했다. 이는 주간 거래 기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 13일(1483.5원) 이후 약 16년 만에
n.news.naver.com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 매각 추진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4080831514080103250&lcode=00&page=1&svccode=00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베센트 재무장관
트럼프에게 관세 협상에 열려있다는 메세지를 내야 한다고 조언. 그렇지 않을 경우 시장이 녹아내릴 것이라고 경고
- 백악관 트럼프 최측근 고위관료 중 트럼프에게 직언을 한 첫번째 케이스
U.S. Treasury Secretary Scott Bessent flew to Florida on Sunday to urge President Donald Trump to focus his message on negotiating favorable trade deals rather than permanent tariffs, according to an exclusive report from Politico.
Bessent warned that markets would "keep melting" unless Trump shifted his stance to emphasize the endgame of his tariff strategy.
https://www.newsweek.com/bessent-flies-florida-urge-trump-change-message-tariffs-report-2056592
Bessent jets to Florida to urge Trump to change message on tariffs: Report
U.S. Treasury Secretary Scott Bessent asks Trump to emphasize trade deal negotiations amid market turmoil over sweeping tariffs.
www.newsweek.com
[속보]韓대행 "한미 양국 정상 통화 추진…오늘밤 혹은 내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74647?rc=N&ntype=RANKING&sid=100
머스크
반관세 입장 분명히…트럼프와 이별 준비하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79907
머스크 반관세 입장 분명히…트럼프와 이별 준비하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반 관세 입장을 분명히 하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이별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일 관세
n.news.naver.com
#NAVER
...KB는 매도리포트 VS NH는 매수리포티..........공통점은 1분기실적이 다소 아쉽다 .평가 > 네이버(NAVER)의 커머스앱 실적 기여 시점이 올해 2분기에서 하반기로 미뤄지면서 내년 영업이익까지 하향 조정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선화 KB증권 연구원은 "네이버 목표주가를 기존 28만원에서 26만원으로 7.1%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Buy(매수)를 유지한다"며 "지난 3월 출시한 플러스 스토어(커머스 서비스) 별도 앱의 본격적인 실적 기여 시점을 올해 2분기에서 하반기로 변경함에 따라 2025년, 2206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각각 3.6%, 6.0^ 하향 조정한 것이 주된 원인"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3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의 MAU(월간 활성 사용자)는 268만명으로 쿠팡(3292만명), 11번가(870만명), 알리익스프레스(712만명) 대비 다소 아쉬운 수치를 기록해 네이버 주가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면서도 "6월2일부터 신규 도입되는 판매수수료율 변경(1%p(포인트) 상승) 정책으로 인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영업이익 개선이 기대된다"고 했다.
네이버의 커머스앱은 지난 3월12일 안드로이드, 19일 iOS 버전이 출시됐다. 지난 4일 기준 누적 다운로드 수는 약 298만건이다.
이 연구원은 "AI(인공지능) 기반 개인화된 맞춤형 상품 추천에 따른 구매율 상승이라는 선순환 효과로 2025년 커머스 중개 및 판매 매출액이 전년 대비 28.4%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광고 인벤토리 확대 및 UX/UI 개선에 따른 광고 단가 상승 효과로 커머스 광고 매출액은 17.1%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삼성전자 1Q25P; 스마트폰, DRAM 출하 예상 상회
1Q25 영업이익 어닝서프라이즈 기록
매출액 79조원 (+4.2% QoQ), 영업이익 6.6조원 (+1.6% QoQ)
당사 전망치 25%, 컨센서스 38% 상회
주요 사업부별 영업이익 추정
DS: 메모리 영업이익 3.4조원 (DRAM 3.7조원, NAND -0.3조원), Foundry/LSI -2.5조원
HBM3e 재설계에 따른 출하 부진에도 Conventional DRAM 출하 호조로 DRAM 출하 -1% QoQ 추정
SDC: 0.5조원. 경쟁강도 심화에도 불구하고 GS25 출시 효과로 전년대비 견조 추정
MX/NW: 4.5조원. 스마트폰 출하 예상 상회. 6,030만대 (+16% YoY), ASP 325달러 (-3%YoY) 추정
애널리스트 의견
상호관세에 따른 세트 수요 둔화 우려와 2Q25 GS25 출시효과 희석, 구조적인 SDC 경쟁 심화 등 고려하면, 전사 실적 방어를 위한 메모리 증익 중요성 점증
현재의 HBM 강세 속 D5 공급 부족 상황에서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 발생 감안하면 2Q25 메모리 가격 인상 및 지속을 위한 업계의 보수적 설비투자, 생산, 출하 기조 강화 국면 예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ComxT9
※ 트럼프 상호관세
한국 배터리업체들 수혜 예상 (이번 관세조치로 가장 영향을 받는 분야는 BESS)
트럼프의 상호관세 조치로 인해 시장 전체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는 있지만, 일부 산업이나 기업에서는 트럼프의 관세강화 조치가 오히려 기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에서 중국산(혹은 중국 우회수출물량) 제품과 경쟁하는 산업분야와 미국 현지에 이미(혹은 근시간내에) 생산시설을 확보한 업체들입니다.
BESS와 태양광분야가 산업적으로는 대표적인데, BESS의 경우 에너지전환과 전력수요 증가로 인해 글로벌적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산업분야입니다.
BESS의 경우 중국이 LFP배터리를 통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데, 미국의 높은 관세는 급격히 성장하는 미국 BESS시장에서 한국 업체들에게 큰 기회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국내 배터리업체들의 미국 내 ESS 생산계획을 보면, LG에너지솔루션이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가지고 미국내 ESS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SK온과 삼성SDI는 계획만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 LG에너지솔루션
1. 애리조나 공장 (17Gwh)
2026년 5월 양산예정으로 현재 건설 중에 있음.
총 규모는 53Gwh, 이중 17Gwh는 ESS용 LFP배터리 생산 예정.
2. 미시건 공장 (10Gwh)
기존 전기차용 NCM 라인을 ESS용 LFP라인으로 전환 중.
2025년 상반기 가동 예정
3. 오하이오, 테네시, 미시건 공장 (얼티엄셀즈1, 2, 3)
오하이오, 테네시, 켄터키 NCM 생산라인 일부를 ESS용 LFP라인으로 변경하는 것을 검토 중.
○ 삼성SDI
1. 미시건 공장
기존 미시간 공장 라인 일부를 ESS용 LFP라인으로 전환 고려 중 (시기 미정)
그 외 중국계 일본업체인 AESC가 현재 미국 테네시와 켄터키에서 10Gwh의 LFP ESS배터리를 생산 중(현재 테스트 양산 중)에 있습니다.
국내 배터리 소재/부품사들 중 미국에서 생산을 하는 업체들 또한 미국 관세 혜택이 예상됩니다.
특히 전해액업체들(엔켐, 솔브레인홀딩스, 동화일렉트로라이트, 덕산테코피아)이 미국 현지에서 대규모 전해액 시설을 가동하고 있으며, LFP 배터리의 특성상 3원계 배터리 대비 더 많은 전해액을 필요(약 1.5 – 1.7배)로 합니다.
전해액 업체 외에는 롯데케미칼이 미국에서 알루미늄박 공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부품업체로는 신흥에스이씨, 상신이디피, 케이이엠텍 등이 미국 현지에서 각형배터리 Cap Assy’s 및 Can 생산시설을 건설하였거나 근시일내에 완공될 예정입니다.
● 미국 ESS배터리 90% 중국산, 관세 직격에 K배터리 반사이익 기대 (디일렉, 2025. 04. 07)
중국산 배터리 관세는 2026년에 82.4%에 달할 수 있음.
3.4%기본관세 + 7.5% Section 301(2026년부터는 25%) + 기존 발표된 20% 추가관세 + 34% 상호관세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미국 BESS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배터리업체가 직격탄을 맞을 전망이며, 이로 인해 미국 현지에서 ESS용 배터리 생산을 확대하는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이 반사이익을 얻을 전망임.
시장조사업체 로모션은 3일 “이번 관세로 가장 영향을 받는 분야는 BESS”라고 지적하였음.
테슬라, 포윈에너지, 플루언스 등 미국 ESS업체들은 대부분 CATL, EVE에너지, REPT등 중국 업체로부터 LFP배터리를 공급받고 있음.
관세 영향력이 가시화되는 시점에 미국산 LFP배터리 생산을 추진 중인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등 한국 배터리 업체가 중국산 배터리의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
하지만 LFP 고재 공급망이 미국이나 한국 모두 미비한 상황임.
LG에너지솔루션은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연간 17Gwh ESS용 LFP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임.
SK온은 기존 전기차 라인을 ESS용으로 전환해 LFP기반 제품을 생산할 계획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4491
美 ESS 배터리 90% 중국산…관세 직격에 K배터리 반사이익 기대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미국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배터리 업체가 직격탄을 맞을 전망이다. 미국 현지에 ESS용 배터리 생산을 확대하는 LG에너지솔루션과
www.thelec.kr
[속보] 정부,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일로 지정
<삼성전자 1Q25 잠정실적 리뷰>
* 매출액: 79조원(9.9% YoY, 컨센 2.4% 상회)
* 영업이익: 6.6조원(-0.1% YoY, 컨센 33% 상회)
* OPM: 8.4%(-0.8%p YoY, 예상치 상회)
[속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규모 3.6조→2.3조원으로 정정
https://v.daum.net/v/20250408081201008
[속보]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규모 3.6조→2.3조원으로 정정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8일 이사회를 열어 유상증자 규모를 당초 계획했던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줄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경민 기자 brown@mt.co.kr
v.daum.net
#한국관세
#반도체관세 / 미국, 반도체 25% 관세 부과 시 한국 반도체업계 매출 4.3% 감소 예상
https://buly.kr/15OZnJ8
[News] Tariff Shock: Korean Chipmakers Could Face 4.3% Revenue Hit If U.S. Imposes 25% Semiconductor Tariff | TrendForce News
According to Business Korea, which cites analyst forecasts, if the U.S. enacts a 25% tariff on semiconductors, it could lead to a 4.3% drop in revenue...
www.trendforce.com
#베센트의 발언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는 미국의 무역 파트너들과의 협상이 시작되면서 관세율이 인하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하며, "모든 것이 협상의 테이블 위에 있다"고 밝혔다.
그는 월요일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보복하지 않는 국가들에 대해서는 현재 최대 수준의 관세를 적용하고 있으며, 건설적인 협상을 통해 우리가 보게 될 유일한 변화는 관세 수준의 하락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그러나 이는 다른 국가들에 달려 있습니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07/bessent-says-everything-is-on-negotiating-table-with-tariffs?taid=67f4419d5dd9020001506c9e&utm_campaign=trueanthem&utm_medium=social&utm_source=twitter
#애플
애플, 사흘간 증발 시총 940조원…월가 낙관론자도 목표가↓
7일(현지시간) 아이폰 제조사 애플이 3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했다. 애플 주가가 사흘간 19% 밀리면서 시가총액 6380억달러(약 938조원)가 증발했다. 애플 최고경영자(CEO) 팀 쿡.(사진=AFP) 이날 뉴욕증
n.news.naver.com
Naver
애플, 사흘간 증발 시총 940조원…월가 낙관론자도 목표가↓
#EU관세
https://www.news1.kr/world/europe/5745672#_enliple
"EU 집행위, 미국산 제품에 25% 맞불 관세 부과 제안"
5월 중순·12월 초 2단계에 걸쳐 부과하는 방식 미국산 버번위스키·와인 등 주류 포함 안 돼…오는 9일 표결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EU에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www.news1.kr
뉴스1
"EU 집행위, 미국산 제품에 25% 맞불 관세 부과 제안"


*특징 종목: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5.8% 급락과 8.3% 급등 후 2.7% 상승
테슬라(-2.53%)는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스가 일론 머스크의 브랜드 위기와 트럼프의 관세가 협쳐져 테슬라에게는 완벽한 폭풍이 되었다며 매수 의견은 유지하고 있지만 목표주가를 550달러에서 315달러로 하향 조정하자 한때 10% 넘게 급락. 트럼프의 대 중국 추가 관세 언급 소식도 불안 요인. 그러나 반발 매수 유입도 진행되며 5% 넘게 상승하기도 하는 등 변동성 확대되며 낙폭 축소. GM(-1.47%)은 번스타인이 미국 정책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음을 이유로 매도로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50에서 35달러로 하향 조정하자 하락. 포드(-3.55%), 스텔란티스(-4.73%)도 하락. 퀀텀스케이프(-2.87%) 등 2차 전지 업종도 부진
엔비디아(+3.61%)는 트럼프의 대 중국 추가 관세 언급에 8% 넘게 하락하기도 했지만, 반발 매수세 및 마진콜로 인한 패닉셀링이 약화됐다는 평가가 진행되며 8% 넘게 급등하는 등 변동성 확대 후 3.61% 상승 마감. 이러한 엔비디아의 힘으로 브로드컴(+5.23%), 마이크론(+5.59%), 램리서치(+5.30%), ARM(+1.06%) 등 대부분 반도체 업종이 상승 확대. TSMC(-0.40%)도 큰 폭 하락을 뒤로하고 낙폭 축소. 더불어 슈퍼마이크로컴퓨터(+10.60%), 아리스타넥트웍(+5.89%) 등 AI 서버 관련 기업들, GE버노바(+5.37%), 비스트라(+4.63%) 등 전력망 관련 기업들도 급등.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5.8% 급락에서 결국 2.70% 상승
애플(-3.63%)은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스가 목표주가를 325달러에서 250달러로 하향 조정하자 하락. 여기에 중국의 보복관세에 대한 트럼프의 추가 관세 언급 등 마찰이 확대된 점도 불안 요인. 아마존(+2.46%)은 반발 매수세가 유입된 가운데 자사 앱에 없는 제품을 소비자 검색할 경우 링크를 제공해 아마존이 고객 대신 해당 브랜드의 상품을 구매하는 시스템인 AI 기능 ‘Buy For Me’를 출시한다고 발표하자 상승. 알파벳(+0.97%)은 웨이모의 내부 카메라 데이터를 활용해 생성형 AI 모델을 훈련하고 광고를 판매할 수 있다는 소식에 상승. 메타 플랫폼(+2.29%)은 일부 투자회사에서 매력적이라고 발표하자 상승. MS(-0.56%)도 큰 폭 하락을 뒤로하고 낙폭 축소
알리바바(-9.06%)를 비롯해 핀둬둬(-4.03%), 진둥닷컴(-5.13%) 등 중국 소비 관련 종목군, 윰 차이나(-5.38%), Vip숍(-4.89%)등 소비 관련 종목, 바이두(-3.24%) 등 기술주, 넷이즈(-6.59%) 등 게임주, KE홀딩스(-6.49%) 등 부동산 관련 종목, 트립닷컴(-4.19%) 등 여행주, 니오(-2.89%), 샤오펑(-8.70%), 리오토(-6.76%) 등 중국 전기차 업종 등 대부분 중국 기업들은 트럼프가 50% 추가 관세 언급 소식에 매물 출회되며 하락
아이온큐(+10.01%), 리게티컴퓨팅(+11.07%) 등 양자 컴퓨터 관련 종목군은 큰 폭 하락을 뒤로하고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급등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 올해 양자역학 100주년이라는 점에서 양자 컴퓨터 관련 기술 스타트업들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이들에 대한 펀딩도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결국 올해가 양자 컴퓨터 산업의 진보가 진행될 것이라는 평가가 유입. 로켓랩(+7.03%), 인튜이티브 머신(+3.64%) 등 우주개발 등 많은 테마주들도 강한 모습. 물론 팔라다인 AI(-2.50%)가 하락했지만 조비 항공(+4.10%), 아처항공(+7.42%) 등 드론 및 비행택시 관련 테마, 템퍼스AI(-+0.28%), 슈뢰딩거(+1.00%), 깅코 바이오웍스(+15.08%) 등 AI 활용한 바이오테크 테마 등도 견조
팔란티어(+5.17%)는 10% 넘게 하락하다 10% 넘게 상승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 주가 옵션 거래에서 80달러 행사하는 콜옵션 거래량이 급증하는 등 옵션 시장의 변화가 주가 변동성 확대를 견인하는 등 수급적인 요인이 컸음. 이 외 오라클(-0.87%), 세일즈포스(+1.43%), 서비스나우(+1.92%) 등 소프트웨어 업종도 낙폭 축소하거나 상승 전환. JP모건(+1.98%), BOA(+3.46%), 웰스파고(+1.95%) 등 금융주는 관세로 인한 경기 침체는 대출 수요 감소와 연체율 증가에 따른 충당금 증가를 자극한다는 점에 큰 폭 하락했지만, 금요일 실적 발표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며 상승.
-중국 보복관세에 대한 대응: 트럼프는 4/8까지 중국이 34% 관세 부과 조치를 철회하지 않는다면 9일부터 50% 관세를 추가로 부여하겠다고 경고
-다른 국가들에 대해서는 즉시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발언
https://v.daum.net/v/20250408061826284
미·일, 상호 관세 협상 개시… “日정부 성실한 접근 감사”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7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저와 무역대표부(USTR)에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총리와 그의 내각과 함께 ‘새로운 글로벌 무역 황금기’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v.daum.net
#Apple
관세 대응 차원에서 인도산 아이폰 비중 확대 계획
https://buly.kr/AapUlMB
'투자꿀팁과 최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820250407 일희일비 소식 (0) | 2025.04.07 |
---|---|
20250406 일희일비 소식 (0) | 2025.04.06 |
20250405 일희일비 소식 (0) | 2025.04.05 |
장기 투자 vs 단기 투자, 해외 주식에서 더 유리한 방법은? (2) | 2025.04.05 |
20250404 일희일비 소식 (0) | 2025.04.04 |